해외에 있는 자녀나 가족에게 송금해야 한다면, 무심코 은행을 선택하지 마세요.
똑같은 송금인데 수수료는 최대 8,000원까지 차이가 납니다. 특히 건당 전신료, 환율, 송금 금액, 수취 방식에 따라 실제 부담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2025년 기준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비교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주요 은행과 핀테크 플랫폼의 해외송금 수수료 비교, 전신료 면제 여부, 소액 송금 시 팁 등을 정리했습니다.
✅ 자녀 유학비 보내려면? 해외송금 수수료 이렇게 다릅니다!
2025년 현재, 국내 주요 은행 및 핀테크 플랫폼의 해외송금 수수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제주은행은 특히 소액 송금 시 수수료 면제 정책을 도입하며 소비자 부담을 줄이고 있어요.
💳 국내 은행/플랫폼별 해외송금 수수료 비교 (2025년 기준)
은행/플랫폼 | 해외송금 수수료(원) | 전신료 추가 비용(원) | 전신료 면제 여부 |
국민은행 | 3,000~5,000 | 5,000 | ❌ |
신한은행 | 2,500~12,500 | 8,000 | ❌ |
하나은행 | 3,000~5,000 | 5,000 | ❌ |
우리은행 | 2,500~12,500 | 면제 | ✅ |
제주은행 | 면제 | 5,000 | ✅ (수수료) |
카카오뱅크 | 4,900 | 면제 | ✅ |
케이뱅크 | 4,000~8,000 | 면제 | ✅ |
출처: 은행연합회 / 언론 보도 기준 (2025년 7월)
📌 해외송금 수수료 체크 포인트
1️⃣ 전신료, 최대 8,000원까지 더 낼 수 있다
‘전신료’란 SWIFT 국제통신망을 통해 송금 정보를 전송하는 비용으로, 대부분 은행은 건당 부과합니다.
하지만 카카오뱅크·케이뱅크·우리은행 등은 전신료 면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최대 8,000원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소액 송금은 핀테크가 유리!
10만 원 이하 소액 송금의 경우, 전통 은행들은 송금 금액과 무관하게 수수료를 부과하지만,
카카오뱅크는 1인당 1일 최대 500만 원까지 고정 수수료(4,900원)만 받고,
제주은행은 송금 수수료 자체를 면제하고 있습니다.
3️⃣ ‘소액+비대면’ 조합이 핵심 전략!
● 소액 송금을 자주 한다면 →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제주은행
●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송금하고 싶다면 → 카카오뱅크 앱이 최적
● 전신료까지 아끼고 싶다면 →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 해외송금 관련 필수 사이트
💡 GTP가 전하는 팁: 해외 유학생 자녀 송금, 이렇게 하세요!
해외에 있는 자녀에게 학비나 생활비를 보내야 하는 부모님들 입장에서, 매달 또는 분기마다 송금하는 고정 비용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 단돈 5,000원이라도 절약하려면 비대면 송금 서비스 이용
👉 전신료까지 고려하면 핀테크 기반 은행이 유리
👉 소액 송금이 반복된다면 ‘정액 수수료’ 서비스 선택
✨ 마무리하며: 수수료 아끼면, 학비 더 보낼 수 있어요!
같은 돈을 보내더라도 수수료 차이로 연간 수 만 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게 해외송금입니다.
특히 2025년 들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핀테크 기반 서비스가 빠르고 저렴한 해외송금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매달 자녀에게 학비나 생활비를 보내는 부모님이라면, 이제는 “어느 은행이 더 저렴한가?”를 반드시 비교해보세요!
🔗 더 많은 해외송금 꿀팁을 알고 싶다면?
전국은행연합회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 정보, 소비자 정보, 회원사 정보 및 연합회 소개 등
www.kfb.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