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편] 브라질 정부 데이터를 통해 본 개발도상국의 투명한 성장 기록

by 무드리 2025. 5. 26.

- 브라질, 그 거대한 변화의 이면을 들여다보다
브라질은 남미 최대 경제 규모를 자랑하지만, 동시에 심각한 사회 불평등, 빈곤, 환경 파괴 문제도 안고 있는 대표적인 개발도상국입니다. 하지만 그런 이미지와 달리 브라질 정부는 공공 데이터 공개와 투명성 확보에 매우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입니다.

환경, 인구, 복지, 교육, 보건, 도시 계획 등 수많은 데이터를 누구나 열람 가능하게 해두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블로그나 콘텐츠 창작자에게 있어 국제 비교 분석형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원입니다.

[12편] 브라질 정부 데이터를 통해 본 개발도상국의 투명한 성장 기록
[12편] 브라질 정부 데이터를 통해 본 개발도상국의 투명한 성장 기록

 

dados.gov.br: 브라질 정부의 공식 공공데이터 포털


dados.gov.br 는 브라질 연방 정부의 공식 오픈데이터 포털로, 연방 및 지방 정부의 데이터를 수집·통합·제공하는 기능을 합니다.

- 주요 특징
. 수만 건의 공공 데이터 세트를 한 곳에 모은 중앙 허브

. CSV, JSON, API 연동 가능

. 주제별·기관별·지역별 필터 검색 제공

. 시민 개발자와 협업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API 지원

- 주요 카테고리
. 환경: 삼림 훼손, 열대우림 보호, 기후 변화 지표

. 도시계획: 교통량, 치안, 주거 인프라 통계

. 보건: 질병 발생률, 공공의료 이용률, 예방접종 데이터

. 교육: 공립학교 통계, 중퇴율, 문해율, 교사 수급 현황

예를 들어, “아마존 지역 삼림 훼손 면적 추이”나 “브라질 도시별 범죄 발생률 비교” 같은 콘텐츠는 국내에서도 매우 희소한 정보로, 데이터 기반 사회 이슈 콘텐츠로 강한 주목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IBGE (Instituto Brasileiro de Geografia e Estatística): 브라질 통계청


[IBGE (https://www.ibge.gov.br)]는 브라질의 국가 통계청으로, 인구조사, 노동시장, 경제, 건강, 교육 등 전반적인 국가 데이터를 다루는 핵심 기관입니다.

- 주요 제공 콘텐츠
. 인구센서스: 인종, 소득, 연령, 성별, 주별 인구 변화

. 노동 통계: 고용률, 실업률, 산업별 종사자 수

. 교육 자료: 학교 등록률, 문해율, 교육 격차

. 건강 통계: 지역 간 의료 접근성, 영유아 사망률, 전염병 통계

- 콘텐츠 예시
. “브라질 빈곤율 변화와 정부 복지 정책의 연계성”

. “브라질 교육 격차: 도시와 농촌의 문해율 차이”

. “브라질 여성의 고등교육 진학률은 OECD 평균을 넘을까?”

. “코로나 이후 브라질 의료 체계의 회복력 분석”

IBGE의 강점은 심층적인 지역 단위 데이터까지 제공한다는 점으로, 도시 간 격차, 지역별 불균형을 시각화하고 비교하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

 

브라질 데이터를 활용한 블로그 콘텐츠 아이디어


브라질은 여러 사회 문제를 안고 있지만, 그 데이터를 공개하고 연구 기반의 정책 수립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정보형 콘텐츠로 매우 가치 있는 소재입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이라는 틀 안에서 선진국과의 비교 분석형 콘텐츠를 만들기 좋습니다.

- 콘텐츠 주제 아이디어
. “아마존 삼림 파괴의 현재: 브라질 정부의 공식 데이터를 통해 본 현실”

. “브라질 아동 빈곤율과 교육 중퇴율: 출생지가 미래를 결정할까?”

. “브라질 공공의료 시스템의 예방접종 성공률과 그 의미”

. “브라질 여성의 고등교육 진학률과 노동시장 진출 현황”

. “상파울루와 리우데자네이루의 도시 문제 비교: 교통, 치안, 주거 통계로 분석”

이런 콘텐츠는 블로그뿐 아니라, 유튜브 인포그래픽, 뉴스레터, SNS 카드뉴스 등으로도 확장 가능하며, 전 세계적 관심사인 불평등, 환경, 보건 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풀어주는 콘텐츠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브라질은 개발도상국이지만, 정보공개의 수준은 생각보다 앞서 있습니다.
정책 성과와 한계를 정직하게 공개하고, 시민과 개발자가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열린 플랫폼을 구축한 점은
공공데이터가 ‘시민을 위한 공공재’임을 실천하는 본보기입니다.

당신의 블로그가 이 방대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소개하는 창구가 된다면, 한국어로는 거의 없는 희소한 정보형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스라엘 정부의 기술, 보안, 스타트업, 보건 관련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술강국’의 공공데이터 문화와 활용 사례를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